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박근혜 전 대통령 모습이 보이는데요. 누구의 순발력일까요?<br> <br>짐작하셨겠지만, 박 전 대통령의 '경호원'인데요. <br> <br>어제 대구 사저 앞에서 대국민 메시지를 발표하던 중 유리병이 날아드는 돌발 상황이 벌어졌죠. <br> <br>당시 경호원들의 빠른 대처가 오늘까지 화제가 됐습니다. <br><br>["박근혜 전 대통령 (어제)]<br>힘들 때마다 저의 정치적 고향이자 마음의 고향인 달성으로 돌아갈 날을 생각하며 견디어 냈습니다." <br><br>Q. 경호원들은 병이 날아오기 전부터 이미 대비를 했네요.<br> <br>네. 누리꾼들은 병에 위험한 물질이 들어있었을 수도 있는데 즉각 몸을 던진 경호원들의 대처에 찬사를 보냈습니다. <br><br>Q. 어제도 잠시 설명 드렸는데 청와대 소속 경호원들이죠?<br><br>네, 어제 현장에는 과거에도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켰던 경호원이 임무를 수행해 눈길을 끌었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박홍근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와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, 당 투톱인데 뭐가 애매한가요?<br> <br>박지현 위원장은 얼마 전 안희정 전 지사 부친상에 조문한 여권 인사들에게 '멱살 잡아야 되나'라고 비판한 적이 있는데요. <br> <br>이 비판에서 박 원내대표가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지난 2020년 박원순 전 시장 사망 당시 "고인의 독보적 업적을 그대로 평가받길 원한다"고 추모했었고요. <br> <br>이런 표현을 쓰기도 했습니다. <br><br>[박홍근 /당시 故박원순 장례위 공동집행위원장(2020년 7월)]<br>"피해를 호소해온 분에게도 고인의 죽음은 큰 충격이고 어느 누구도 피해 호소인을 비난하거나 압박하여 가해하는 일이 없도록, 가짜 뉴스와 추측성의 보도도 피해 호소인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." <br><br>Q. 2차 가해를 하지 말아 달라면서도 '피해 호소인'이라고 했네요. <br><br>이수정 교수는 "성폭력 2차 가해자를 대표로 (뽑느냐)"고 비판했고, 국민의힘에서는 "권력형 성범죄자 옹호를 반성하는 척하며 쇼만 했다"고도 했는데요 <br> <br>박 원내대표는 오늘 이렇게 해명했습니다. <br><br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(오늘)]<br>무엇이 사건의 사실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장례를 치를 수밖에 없었고. 인식하지 못한 발언에 대해서 당연히 잘못된 용어의 선택이었다 <br><br>Q. 박지현 위원장의 생각이 궁금하네요. 오늘 박 위원장은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했는데, 젊은 청년들이 여야 대표로 앉아있네요. <br><br>네. 젠더 문제로 날을 세워 온 이준석 대표와 어색한 투 샷이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> <br>박 위원장이 SNS에 추모의 글을 올렸는데, 이게 논란입니다. <br><br>내용을 보면요, "오늘이 서해 연평도에서 북한 잠수정의 기습 공격을 당한 지 20년째 되는 날"이라며 2002년 3월 26일이라는 날짜를 언급했습니다.<br><br>Q. 3월 26일은 12년 전 일어난 천안함 사건 날짜인데 잘못 쓴 것 같네요.<br> <br>짧은 글 곳곳에 오류가 많은데요. <br><br>제2연평해전은 2002년 6월이고요. 해상 교전이라 연평도가 공격당한 게 아닌 데다 북한 잠수정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. <br> <br>문제가 되자 해당 내용을 삭제했는데요. 엄중한 직책을 맡은 만큼 더 꼼꼼히 팩트체크 하면 좋겠습니다.(팩트체크) <br><br>Q. 사소해 보일 수도 있지만 아픔 겪은 유족들에게는 상처가 될 수 있으니까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 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임솔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